반응형

이더리움 2.0 과도기?

1. Curve Finance

Curve(커브)는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DeFi 거래소입니다.

USDT/USDC, stETH/ETH , alETH/ETH 등과 같이 유사한 자산을 거래를 지원하는데 특화되어있습니다. 유사한 자산 간에 유동성이 많아지면 슬리피지가 많이 줄어들어 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커브 파이낸스는 이러한 유동성을 유치하기 위해 다양한 보상을 제공합니다. stETH/ETH 풀에 예치를 하여 유동성을 공급하면 이자로 5.52%를 얻을 수 있습니다. (거래 수수료 및 Curve와 Lido에서 제공하는 인센티브)

Curve(커브)는 stETH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이며 stETH를 이용한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2. Terra-LUNA사태 (달의 몰락)

저번 달 5월 루나가 무너질 때 stETH도 타격이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루나 생태계에서 bETH라는 토큰이 존재했기 때문입니다. 테라 블록체인에 stETH를 래핑 한 bETH가 상당량으로 존재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테라 블록체인이 무너지면서 테라 생태계에 있던 bETH가 낮아진 보안 우려에 stETH의 가격이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Curve에서 stETH/ETH의 유동성이 떨어지면서 stETH와 ETH의 갭이 5%까지 벌어지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이더리움 폭락 원인(1)에서 2.67%가 넘으면 Aave에서 최대 대출받을 시 청산을 당한다고 했습니다.

실제로 테라 블록체인이 무너질 때 (5/10일 ~ 5/14일) stETH와 ETH의 갭이 벌어짐에 따라 Aave에 있는 상당량의 레버리지가 청산되었습니다.  이에 Aave팀은 최초 LTV 73%에서 69%로 낮추고 청산 비율을 75%에서 81%로 올리는 결정을 했습니다. 즉, 69/81 = 0.851로 청산 버틸 수 있는 갭을 15%로 변경했습니다.

 

Terra 생태계 anchor protocol붕괴 에 따른 Lido의 포지션 청산 경고

 

3. Celsius (셀시우스)

셀시우스는 170만 명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미국의 가상화폐 대출 플랫폼입니다. 셀시우스는 stETH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stETH 맡기면 이더리움을 빌려줬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리도파이낸스에 이더리움을 맡기고 stETH 받아 다시 셀시우스에 stETH 맡기고 이더리움을 받아 수익을 극대화 했습니다. 방법은 상승장에서 레버리지를 일으키며 아주 수익을 극대화 할 있는 방법이였습니다. 즉, Aave와 같은 방법으로 레버리지를 발생시켜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입니다.

 

셀시우스에서는 가상화폐를 스테이킹을 진행하면 높은 이자율을 지급한다고 많은 고객들을 유치했는데, 높은 이자율을 지급할 능력에 대해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6/8일 셀시우스 네트워크가 800억 원의 손실을 봤다는 내용을 숨겼으며 지급능력 부족으로 유동성 위기에 처했다는 의문이었습니다.

셀시우스는 고객 상환 요구를 위해 9500만 달러를 빌렸다고 알려지면서 유동성 위기 암시했습니다. 셀시우스 자산인 100만 ETH 중 상당수를 스테이킹 하거나 stETH로 보유하고 있어서 고객들이 상환을 요구하면 뱅크런 발생 가능한 상황입니다.

 

셀시우스 보유 ETH의 44%가 stETH이고 29%는 직접 스테이킹 중이라 당장 회수 불가능 한 상황이고, stETH의 유동성이 좋지 않아 한번에 stETH를 팔 경우 슬리피지가 높게 발생하여 적은 수량의 ETH를 받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러한 유동성 위기에 빠진 셀시우스는 공격당하기 좋은 먹잇감입니다. stETH 유동성을 공격하여 셀시우스를 청산시킬 수 있습니다.

stETH는 Curve(커브) 말고도 리도 파이낸스에 ETH를 맡겨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규모로 청산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럴 경우 Curve의 stETH의 유동성이 무너진다면 셀시우스는 가지고 있는 비트코인을 매도하면서 어떻게든 페깅을 유지하려고 할 것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의 가격은 폭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마치 루나 사태가 떠오르는 비슷한 과정입니다.

 

또한, FTX에서 UST 스테이블 코인 선물거래를 발생시킨 것처럼 4만 개의 stETH(Lido에 스테이킹 된 이더리움)를 WETH, ETH로 변환하면서 stETH 하락 압력이 증가하였고 stETH와 ETH의 1대 1 페깅이 깨지니 루나사태를 겪었던 투자자들이 두려움을 가지게 되었고 stETH 가지고 있던 투자자들은 이더리움으로 바꾸고 계속해서 파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셀시우스의 이더리움을 바꾸지 못한 상황에서는 stETH 가격에 시장에 매도를 하기 시작하면서 stETH와 ETH의 갭이 6%가 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디페깅이 심해지는 경우 stETH와 ETH가 12%까지 벌어진다면 Aave에 맡겨진 stETH 상당수가 청산이 되며 20%까지 벌어지면 추가로 16% 청산이 되면서 엄청 많은 청산이 발생합니다. (Aave에 담보로 맡겨진 stETH가 전체 발행량의 1/3 차지)

 

테라 사태도 시총 10위안에 들었던 코인이 며칠 만에 붕괴되는 현상을 지켜봐 온 입장으로 가상화폐 시장의 대표인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주 담보로 하는 셀시우스의 뱅크런이 발생된다면 가상화폐 시장은 상상도 할 수 없는 하락장이 시작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
반응형

Terra-LUNA 사태로 인하여 DeFi시스템의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규제가 더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1. Terra(UST)의 붕괴에 따른 변화

Terra-LUNA 알코리즘 스테이블 코인은 안전하지 않았습니다. Terra (UST)는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의 대표적인 주자로 LUNA라는 토큰과 연동되며 차익거래를 통한 달러와 1대 1 페깅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스테이블 코인은 달러와 같은 값어치를 가지고 있어 안전하다는 믿음이 LUNA사태에 의하여 충격을 가져다 줬습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에서 시작된 DeFi 시스템의 리스크는 Tether(USDT), UST를 담보로 하는 타 생태계 플랫폼 더 나아가 DeFi의 불신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 이 사태를 기점으로 미국 정부에서도 LUNA코인을 언급하며 스테이블 코인의 규제를 앞당기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 Tether(USDT)의 리스크와 붕괴 가능성은?

Tether(USDT)는 스테이블 코인 중 시가총액 1위인 법정화폐 담보로 하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1달러를 지불하면 1 USD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USDT는 실제 법정화폐인 1달러를 담보로 하기 때문에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보다는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5월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약 95조 원으로 중소형 은행과 맞먹는 시가총액 수준입니다.

하지만, Tether(USDT)는 상장 당시부터 담보 자산 금액이 USDT발행 금액보다 적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이에 2021년 5월에 자산내역을 공개는 하였으나 회사채보다 리스크가 큰 기업의 어음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총자산의 6%밖에 안되었습니다. 현재는 미국채 비중을 늘리고 기업의 어음을 축소하여 미국채 비중을 가장 많이 변경하였지만 어떤 기업의 어음을 가지고 있는지는 아직도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Terra-LUNA 사태로 인하여 USDT의 붕괴로 까지 번지며, 일주일 간 시가총액이 10% 급락하였으며 순간 1달러의 페깅이 무너지고 0.93달러까지 내려갔습니다. 만약 대규모 자금이 유출되는 상황에서 유동화할 수 있는 자산이 뒷받침이 되지 않으면 페깅은 깨질 것이며, UST처럼 복구가 안 되는 상황의 발생과 함께 DeFi 시장을 넘어서 금융 리스크로 확대될 것입니다.

 

Tether(USDT)가 몰락할 수 있는 리스크는 첫 번째, 채권을 구입한 시점의 금리보다 현재 금리가 현저히 높을 때 액면가 기준 손실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는 기업 어음 중 신용등급이 낮아 회사채 발행이 불가능한 기업의 어음의 비중이 높을 시 회사 부도가 발생하면 유동화할 수 있는 준비금에 손실이 발생합니다. 만약, 2가지 리스크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자산 유동화가 어려워 뱅크런 발생 시 달러를 지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시스템이 붕괴될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향후 담보자산의 세부 내역 결과에 주목을 해야 합니다.

5/19일 뉴욕 법인에서 Tether의 담보 세부내역 정보 비공개 신청을 기각하면서 공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3. 규제 친화적 USDC 스테이블 코인은?

LUNA사태 이후 Tether의 스테이블 코인 및 대다수의 코인들이 하락장을 겪는 와중에 홀로 상승한 스테이블 코인이 바로 USDC입니다.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이 붕괴 및 Tether의 법정 화폐 스테이블 코인도 의혹으로 기존의 스테이블 코인보다 자금이 안전적이고 규제 친화적인 USDC로 이동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또한, USDC는 CBDC도입 이전에 과도기적 성격의 스테이블 코인으로서 입지가 확대될 것으로 해석이 되면서 LUNA 사태 시점 일주일 동안 시가총액은 7.2%나 올랐습니다.

 

그렇다면 왜 USDC는 규제 친화적인 스테이블 코인인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USDC는 나스닥에 상장되어있는 코인베이스와 Circle 기업의 합작 프로젝트로 Tether(USDT)와 마찬가지로 법정 화폐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하지만 Tether보다 안전하고 투명하다는 장점을 바탕으로 USDC는 상장 이후 현재까지 매월 감사보고서를 공시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는 달러와 미국 국채로 통일하는 등 규제 친화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보로 2018년 출시 이후 30% 이상 점유율을 확보하며 스테이블 코인 시가총액 2위 자리까지 올라왔습니다.

 

USDC는 LUNA(UST)와 마찬가지로 스왑, 스테이킹, 이자 농사 등 DeF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일 스테이킹의 경우 APY기준 5~7% 수준으로 다른 DeFi시스템 대비 낮은 수준이지만, 안정성을 고려했을 때 하락장에서는 대체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국가 발행 디지털 화폐인 CBDC가 아니기에 100% 안전한 투자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LUNA 사태를 겪고 더욱더 객관적으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