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BTP

[BTP] Cloud Application Programming(CAP)실습2_Risk Management CDS만들기

학습 일지 2025. 7. 10. 00:01
728x90
반응형

 

실습 하기 전에 BTP Trial 계정 생성은 아래 글을 참고.

 

 

[BTP]BTP Trial 계정 생성 및 BTP Cockpit

SAP BTP( Business Technology Platform)는 SAP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이다. 즉, 비즈니스 프로세스 최적화를 하면서 신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확장하는데 필요한모든 기술과 서비스를 한곳에

economic-diary.tistory.com

 

자 저번에 생성했던 DEV Space에서 Risk Management 실습을 해보려고 한다.

 

DEV Space 만드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BTP] Dev Space 만들기

DEV Space는 특정 시나리오에 필요한 도구와 확장 기능이 미리 설정되어있는 개발 환경이다. SAP Business Application Studio에서 DEV Space를 만들어보자. 1. BTP Business Application Studio로 들어가서 Create Dev Sapce

economic-diary.tistory.com

 

먼저, Data Model 을 생성해야한다.

 

Project 구성에서 Data Models에 + 버튼을 누르고 이름 입력 후 Create 버튼 클릭.

 

Name을 지우고 RiskManagement , Service Name은 RiskManagementService로 생성해보겠다.

Create Data Model

 

그러면 아래와 같이 Data Model이 생성된다. 

 

Data Model 클릭 후  'Show in Storyboard'클릭 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Storyboard가 등장하며, 

 

화면에서 클릭해서 진행할 수 있고 왼쪽에서 눌러서 진행 할 수 있다.

RiskManagement Storyboard

 

Create data model entity 를 눌러서 만들어주면 아래와 같은 schema에 entity가 생성된다.

 

show detail버튼을 눌러 스키마를 작성할 수 있다.

entity schema setting

 

만들어진 entity 이름을 Risks로 바꾸고 아래와 같이 세팅.

Risks entity

 

또하나의 entity를 추가하여 Mitigations 세팅 또한 해준다.

Add entity ( Mitigations )

 

Mitigations entity를 선택하고 Add Relationship을 눌러 Risks entity와 연결.

Add Relationship

 

아래 화면과 같이 Mitigations과 Risk 관계를 Association 으로 1:N 세팅으로 설정한다.

Setting Relationship type

 

위 도식형을 코드로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 (db → src → schema1.cds )

Schema1.cds 코드

 

 

Data Model을 만들었으면 이제 Services Model을 만들면 된다.

 

위에 입력한 값들을 저장하면 아래 도식처럼 변경된다. 

 

Service Model 생성해보자.

Riskmanagement Stroyboard

 

들어가서 Enable draft editing은 체크를 해제하고 Risks를 Projection으로 선택하자.

 

연습과정에서 기록을 추가하고 데이터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기위해 Draft editing을 비활성화 하는 이유다.

Risk Projection 만들기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Mitigations에 대한 Projection을 만들어 보면 

 

두 Entity간에 Relationship은 설정한대로 알아서 세팅이 된다.

Service Entity

 

저장하고 Storyboard가면 아래와 같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장에 sample data를 넣고 deploy까지 진행!!

728x90
반응형